4.
수원오피
1895년 고종은 기본 강령으로 ‘홍범 14조(洪範十四條)’를 선포하고 조선의
자주 독립과 개혁의 실시를 선포하였다. 전통적인 관료 지배 체제에서 근대적인
통치 체제로의 전환을 가져온 갑오 개혁으로 중앙의 관제 및 인사 제도가 개혁되
고 난 후 지방 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졌다.
1895년 윤 5월 1일(5월 26일 공포 칙령 제 98호)에 지방 제도를 개편하여 전국
을 23개의 부로 나누어 337개 군을 그 밑에 두었다. 23개 부는 한성부·인천부·
충주부·홍주부·공주부·전주부·남원부·나주부·제주부·진주부·동래부·대
구부·안동부·강릉부·춘천부·개성부·해주부·평양부·의주부·강계부·함흥
부·갑산부·경성부 등이었다. 부에는 관찰사, 군에는 군수가 행정 업무를 담당
하였다.
이 때 경기도라는 명칭은 없어졌으며 수원군은 인천군·김포군·부평군·양천
군·시흥군·안산군·과천군·남양군·강화군·교동군·통진군 등
과 함께 인천부에 소속되었다. 수원은 종래 지방 행정 제도상 특별한 지위에 있
었던, 개성·강화·광주와 더불어 유수부(留守府)의 칭호를
잃고(칙령 제97호) 일개 군(郡)으로 격하된 것이다.
같은 해 9월 5일(1895년 9월 5일 공포 칙령164호)에는, 337개 군의 군수의 봉
급을 5등급으로 차등을 두어, 군 자체의 격이 5등급으로 나뉘어 지게 되었다.
이 때 수원은 2등 군이 되었다.
당시에 1등 군이었던 곳은 강화·충주·공주·전주·영광·남원·순천·나주·
영암·광주·진주·경주·상주·안악·평양 등 17개 군이었다. 2등 군은 수원을
포함하여 32개 군이 여기에 속했다.
고종은 1896년(건양 원년)에 23부제를 폐하고 1부 13도제를 채택하는 칙령을
반포하였다. 1부는 한성부를 말하는 것으로 판윤(判尹)을 두었고, 13도는 경기·
충청북도·충청남도·전라북도·전라남도·경상북도·경상남도·황해도·평안남
도·평안북도·강원도·함경남도·함경북도였다. 각 도는 관찰사를 두고 각 도마
다 수부(首府)를 지정했고, 이 때 수원은 경기도의 관찰부(觀察府)가 되었다.
한편 경기 지역 중 광주·개성·강화·인천에는 부윤(府尹)을 두었으며, 13도
의 소관 각 군을 5등으로 정하여 군수(郡守)를 두었다. 경기도 각 군의 등급은 1
등부터 4등까지 나누었는데, 그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수원군은 역시 2등급이었
다.
1등 : 광주부·개성부·강화부·인천부
2등 : 수원군
3등 : 여주군·양주군·장단군·통진군
4등 : 파주군·이천군·부평군·남양군·풍덕군·포천군·죽산군·양근군·안산
군·삭령군·안성군·고양군·김포군·영평군·마전군·교하군·가평군·용인군
·음죽군·진위군·양천군·시흥군·지평군·적성군·과천군·연천군·양지군·
양성군·교동군
이 때 수원은 2부(部) 38면이 되었으며, 1899년에 제작된 수원군읍지(水原郡
邑誌) 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.
남부(南部)·북부(北部)·일용면(日用面)·장주면(章洲面)·형석면(荊石面)·
안녕면(安寧面)·용복면(龍伏面)·매곡면(梅谷面)·태촌면(台村面)·송동면(松洞
面)·삼봉면(三峯面)·문시면(文市面)·남곡면(南谷面)·갈담면(葛潭面)·산성면
(山城面)·어탄면(漁灘面)·동북면(東北面)·청호면(晴湖面)·초평면(楚坪面)·
정림면(正林面)·상홀면(床笏面)·남면(南面)·양간면(楊澗面)·종덕면(宗德面)
·토진면(土津面)·수북면(水北面)·오타면(五朶面)·청룡면(靑龍面)·숙성면(宿
城面)·오정면(梧井面)·포내면(浦內面)·광덕면(廣德面)·현암면(玄巖面)·가사
면(佳士面)·공향면(貢鄕面)·팔탄면(八灘面)·장안면(長安面)·우정면(雨井面)
·초장면(草長面)·압정면(鴨汀面)
이 때의 행정 구역은 앞서 살펴본 신읍치로 수원을 옮긴 때인 화
성 축성 이후의 행정 구역과 동일하고 각 면에 속한 동리 역시 같다.
1906년(광무 10) 9월 24일(칙령 제 49호)에 지방 행정 구역을 정리하였는데
이 때 수원군의 팔탄면·초장면·압정면·오정면이 남양군에 편입되었고, 오타면
이 진위군에, 광덕면의 신흥포·신성포와 가사면의 삼도오동이 아산군에 편입되
었고, 율북면·승양면·감미면 등이 양성군에서 수원군으로 편입되었다. 이 때
수원군은 40개면과 560동리(洞里)로 개편되었으며, 면의 명칭과 동리(洞里)는 다
음과 같다.
⊙ 남부면(南部面, 19동) :
남수동(南水洞)·남창동(南昌洞)·매향동(梅香洞)·산루동(山樓洞)·구천동(龜
川洞)·교동(校洞)·매산리(梅山里)·고등촌(高等村)·세동(細洞)·평촌(坪村)·
지장동(芝長洞)·장지동(長芝洞)·독산리(禿山里)·향목동(香木洞)·상류천(上柳
川)·하류천(下柳川)·지동(池洞)·우만리(牛滿里)·인계(仁溪)
⊙ 북부면(北部面, 16동) :
신풍동(新豊洞)·보시동(普施洞)·군기동(軍器洞)·북수동(北水洞)·장안동(長
安洞)·관길동(觀吉洞)·영화동(迎華洞)·지소동(紙所洞)·석산
동(石山洞)·하광교동(下光敎洞)·상광교동(上光敎洞)·화산동(花山洞)·고양동
(高陽洞)·동촌(村村)·둔동(屯洞)·보촌(洑村)
⊙ 일용면(日用面, 11동) :
파장동(芭長洞)·정정리(釘丁里)·조원동(棗園洞)·두곡리(杜谷里)·송죽동(松
竹洞)·정자동(亭子洞)·미륵동(彌勒洞)·일림동(逸林洞)·화산
동(花山洞)·진목동(眞木洞)·신촌(新村)
⊙ 형석면(荊石面, 11동) :
상율전(上栗田)·하율전(下栗田)·이목동(梨木洞)·숙목리(肅村里)·안지동(安
支洞)·천천동(泉川洞)·점촌(店村)·상구운석(上九雲石)·하구운석(下九雲石)·
곡촌(谷村)·탑동(塔洞)
⊙ 송동면(松洞面, 12동) :
야목(野牧)·당곡(堂谷)·당산(堂山)·효대(孝垈)·아산곡(阿山谷)·소곡(蘇
谷)·원촌(院村)·만촌(晩村)·병실(丙室)·현천(玄川)·유곡(柳谷)·빈정포(濱
汀浦)
⊙ 매곡면(梅谷面, 20동) :
도봉리(道峯里)·금곡리(金谷里)·조산리(造山里)·자목리(自木里)·노루미(老
樓未)·두마미(斗馬未)·호매실(好梅實)·가리미(加里未)·천천
동(泉川洞)·서원촌(書院村)·극곡리(村谷里)·원평(院坪)·천월리(川越里)·대
천리(大川里)·소로지(小路地)·영정리(영井里)·숙곡리(肅谷里)·화촌(花村)·
장생현(長牲峴)·석수동(石水洞)
⊙ 삼봉면(三峯面, 17동) :
여래동(如來洞)·청궁리(靑宮里)·장아평(長阿坪)·상동(上洞)·신미리(新迷
里)·입동(笠洞)·구점촌(舊店村)·장등(長登)·반현(半峴)·동화동(桐化洞)·신
촌(新村)·수기동(水機洞)·방축동(防築
洞)·분천동(汾川洞)·신천동(新川洞)·수영동(水營洞)·와우동(臥牛洞)
⊙ 용복면(龍伏面, 6동) :
기안동(旗安洞)·와우동(臥牛洞)·고사촌(庫舍村)·고색리(古索里)·중보평(中洑
坪)·오목천(梧木川)
⊙ 안녕면(安寧面, 12동) :
안녕리(安寧里)·동작현(東鵲峴)·서작현(西鵲峴)·송산동(松山洞)·점촌(店村)
·황계동(黃鷄洞)·
간촌(間村)·대황교(大皇橋)·곡반정(谷泮亭)·중반정(中泮亭)·하반정(下泮亭)
·배양치(培養峙)
⊙ 산성면(山城面, 6동) :
서랑동(西廊洞)·남서리(南西里)·세교리(細橋里)·부동(鳧洞)·지곶동(紙串洞)
·양산동(陽山洞)
⊙ 문시면(文市面, 19동) :
외삼미(外三美)·평촌(坪村)·월촌(越村)·장등(長登)·능곡(陵谷)·하세교(下細
橋)·내삼미(內三
美)·수청동(水淸洞)·독동(篤洞)·검암(黔岩)·죽미(竹美)·중세교(中細橋)·석
곶동(石串洞)·신
촌(新村)·노산리(老山里)·하석곶(下石串)·남산동(南山洞)·각곡(角谷)·배양
치(培養峙)
⊙ 남곡면(南谷面, 35동) :
상보통천(上普通川)·하보통천(下普通川)·모산동(牟山洞)·만은동(晩隱洞)·여
의동(如意洞)·갈
천동(葛川洞)·백동(柏洞)·오곡(梧谷)·와곡(瓦谷)·오일리(五逸里)·봉황동(鳳
凰洞)·한적동(閑
寂洞)·문학동(文學洞)·계향동(桂香洞)·귀래동(歸來洞)·수직동(水直洞)·남동
(藍洞)·조목동(棗
木洞)·구억돈(九憶頓)·괘낭리(掛囊里)·수곡(秀谷)·신촌(新村)·양지동(陽支
洞)·오리동(五里洞
)·내발산(內鉢山)·외발산(外鉢山)·단구리(丹邱里)·학촌(鶴村)·관항동(官項
洞)·장내(墻內)·
판전리(板田里)·탑산동(塔山洞)·사근촌(司斤村)·어상동(於桑洞)·신기촌(新基
村)
⊙ 갈담면(葛潭面, 12동) :
가마리(加馬里)·독정리(獨井里)·왕림동(旺林洞)·세곡(細谷)·당하동(堂下洞)
·마하리(馬霞里)·
유촌(柳村)·석당리(石塘里)·내곡(內谷)·덕좌리(德佐里)·양지동(陽支洞)·하
가등리(下加等里)
⊙ 공향면(貢鄕面, 20동) :
삼일암(三日岩)·창촌(倉村)·두곡(斗谷)·매안동(梅安洞)·월문리(月門里)·화
당촌(花塘村)·갈곡
(葛谷)·서근촌(西斤村)·덕고리(德古里)·고단동(古丹洞)·제암동(堤岩洞)·복
촌(卜村)·장기(場
基)·상평촌(上坪村)·하평촌(下坪村)·분촌(汾村)·방축동(防築洞)·상행정(上
杏亭)·하행정(下杏
亭)·도리동(桃李洞)
⊙ 장주면(章洲面, 14동) :
권선리(勸善里)·신기(新基)·산남리(山南里)·보촌(洑村)·역촌(驛村)·관촌(官
村)·원천(遠川)·
나촌(羅村)·신촌(莘村)·음촌(陰村)·영통(靈通)·후곡(後谷)·매탄(梅灘)·후
촌(後村)
⊙ 태촌면(台村面, 22동) :
진안리(陳雁里)·병점(餠店)·안화동(安花洞)·구봉동(龜鳳洞)·이천(泥川)·능
동(陵洞)·독재동(
篤才洞)·개라리(介蘿里)·당현(堂峴)·양산리(陽山里)·신대리(新垈里)·송곡
(松谷)·기산리(機山
里)·마성리(馬城里)·일안리(一安里)·당곡(堂谷)·반월리(半月里)·각곡(角谷)
·작교(鵲橋)·당
암(堂岩)·우문리(牛門里)·망포(望浦)
⊙ 동북면(東北面, 28동) :
석우동(石隅洞)·이곡(泥谷)·내촌(內村)·묵실(墨室)·서촌(西村)·반송리(盤松
里)·당현(棠峴)·
화견동(花繭洞)·하촌(下村)·소랑곡(少郞谷)·석산동(石山洞)·신기촌(新基村)
·신산강(新山岡)·
구오산(舊梧山)·상촌(上村)·신촌(新村)·직동(直洞)·성죽동(盛竹洞)·능동(陵
洞)·목족동(睦族
洞)·태동(冶洞)·내곡(內谷)·중촌(中村)·선납현(先納峴)·영천평(英川坪)·곡
청계(谷淸溪)·평
청계(坪淸溪)·고매곡(古梅谷)
⊙ 어탄면(漁灘面, 12동) :
장지천(長芝川)·기곡(基谷)·내곡(內谷)·송촌(松村)·산척동(山尺洞)·이곡(梨
谷)·방교(防橋)·평촌(坪村)·금곡(金谷)·신암(新菴)·위포(圍浦)·독곡(禿谷)
⊙ 청호면(晴湖面, 8동) :
부산(釜山)·가량곡(加良谷)·원동(園洞)·역촌(驛村)·대청호(大晴湖)·하오산
(下烏山)·상오산(上烏山)·갈곶(葛串)
⊙ 초평면(楚坪面, 14동) :
청학동(靑鶴洞)·가수동(佳水洞)·누읍리(樓邑里)·탑동(塔洞)·석우리(石隅里)
·두곡(斗谷)·벌음리(伐音里)·동촌(東村)·서촌(西村)·가장동(佳長洞)·궐리
사(闕里社)·궁대(宮垈)·위포(圍浦)·죽전(竹田)
⊙ 정림면(正林面, 13동) :
덕랑리(德郞里)·황기(黃基)·창촌(倉村)·제기(諸岐)·음촌(陰村)·양촌(陽村)
·망월리(望月里)·금복동(錦福洞)·고지동(古支洞)·용수동(龍水洞)·수면리(水
面里)·내촌(內村)·토근동(土近洞)
⊙ 남면(南面, 16동) :
송곡(松谷)·백토동(白土洞)·길성리(吉城里)·요동(料洞)·갈천(葛川)·상수직
(上水直)·하수직(下水直)·증거동(增巨洞)·동오리(東梧里)·관동(官洞)·두모
동(斗某洞)·내동(內洞)·상두리(上斗里)·하두리(下斗里)·화리현(禾里峴)·양
석동(陽石洞)
⊙ 상홀면(床笏面, 13동) :
상죽동(上竹洞)·하죽동(下竹洞)·사창(社倉)·오가리(五加里)·갈전(葛田)·정
내(旌乃)·포당(蒲塘)·도염(道閻)·길묵(吉墨)·송산(松山)·월촌(越村)·후곡
(後谷)·청등리(靑登里)
⊙ 양간면(楊澗面, 15동) :
용치동(龍治洞)·고려리(古閭里)·대촌(大村)·안산동(案山洞)·후곡(後谷)·송
내동(松內洞)·독가동(篤佳洞)·창촌(蒼村)·동신왕리(東新旺里)·서신왕리(西新
旺里)·요당리(寥塘里)·대만촌(大晩村)·소만촌(小晩村)·석천리(石川里)·개월
리(開月里)
⊙ 감미면(甘味面, 10동) :
고염동(古念洞)·옹포(甕浦)·구창(舊倉)·고란평(古蘭坪)·발오곡(發午谷)·개
올(開開)·사량(沙陽)·대양(大陽)·송산(松山)·하두(下斗)
⊙ 토진면(土津面, 14동) :
판교동(板橋洞)·강포리(綱浦里)·어연리(漁淵里)·한산리(閑山里)·고좌리(高坐
里)·건의동(乾宜洞)·토진리(土津里)·삼계동(三溪洞)·대곡(大谷)·고잔리(高
棧里)·원목리(原木里)·전평(前坪)·중평(中坪)·후평(後平)
⊙ 서신리면(西新里面, 6동) :
어소리(漁沼里)·광승리(光升里)·현곡(玄谷)·구몰창(舊沒倉)·석우리(石隅里)
·한산리(閑山里)
⊙ 청룡면(靑龍面, 8동) :
설창(雪倉)·덕좌리(德佐里)·수촌(水村)·신기(新基)·옥길리(玉吉里)·가사리
(茄沙里)·후사동(後寺洞)·강길리(江吉里)
⊙ 숙성면(宿城面, 15동) :
양교동(梁橋洞)·대겸당리(大兼堂里)·여수동(麗水洞)·신기(新基)·소겸당리(小
兼堂里)·성적동(聖積洞)·대죽동(大竹洞)·장자동(長子洞)·소죽동(小竹洞)·점
촌(店村)·숙성리(宿城里)·대조두리(大潮頭里)·월량촌(越梁村)·소조두리(小潮
頭里)·주교동(舟橋洞)
⊙ 오정면(梧井面, 17동) :
임촌(林村)·금곡(金谷)·관두리(冠頭里)·소반촌(小盤村)·대반촌(大盤村)·율
리(栗里)·학현(鶴峴)·황금리(黃金里)·안중리(安仲里)·용촌(龍村)·신촌(新
村)·대삼정리(大三井里)·중삼정리(中三井里)·외삼정리(外三井里)·미촌(美村)
·길음리(吉音里)·탑현(塔峴)
⊙ 현암면(玄岩面, 19동) :
화양동(華陽洞)·언성리(堰城里)·한촌(閑村)·양산(楊山)·송담(松潭)·인광리
(仁光里)·보시동(寶蓍洞)·용동(龍洞)·당현(堂峴)·문곡(文谷)·도대(道垈)·
천곡(泉谷)·방축동(防築洞)·서두호(西杜湖)·신령리(新令里)·신기동(新基洞)
·전동(箭洞)·송내(松內)·가장동(可庄洞)
⊙ 안외면(安外面, 14동) :
백석동(白石洞)·창촌(倉村)·송내(松內)·신대리(新垈里)·재촌(梓村)·유곡(遊
谷)·만호리(晩湖里)·소당리(蘇堂里)·황산리(黃山里)·송담리(松潭里)·원촌
(院村)·능우(陵隅)·이촌(裡村)·신영리(新永里)
⊙ 승양면(升陽面, 12동) :
희곡(希谷)·신영리(新榮里)·가장동(佳庄洞)·국리(菊里)·방림동(芳林洞)·전
촌(箭村)·원택리(元宅里)·미촌(美村)·곡교(曲橋)·당두리(堂頭里)·원정리(遠
井里)·반호(潘湖)
⊙ 포내면(浦內面, 23동) :
해조원(海潮院)·학현(鶴峴)·성외리(城外里)·용소동(龍沼洞)·현석리(玄石里)
·서정리(西井里)·감양리(甘陽里)·목장리(牧場里)·도곡(道谷)·진목리(眞木
里)·무수리(無愁里)·양지촌(陽支村)·고장동(高長洞)·거산리(巨山里)·어은리
(魚隱里)·내기(內基)·구억촌(九億村)·한리(閑里)·야동(冶洞)·피우치(避憂
峙)·운정리(雲井里)·이평(泥坪)·만포(晩浦)
⊙ 가사면(佳士面, 10동) :
두매리(斗梅里)·권관리(權管里)·고잔리(高棧里)·모산리(牟山里)·문곡(文谷)
·기곡(基谷)·기산리(岐山里)·수산리(水山里)·안중리(安仲里)·천곡(泉谷)
⊙ 광덕면(廣德面, 8동) :
영정리(冷井里)·언곡(堰谷)·신왕리(新旺里)·이촌(裡村)·대박리(大朴里)·구
진리(鳩津里)·소박리(小朴里)·와촌(瓦村)
⊙ 언북면(堰北面, 9동) :
당거리(堂巨里)·탑현(塔峴)·홍원(弘院)·안두원(安頭院)·안원리(鞍院里)·동
원리(東院里)·교포(橋浦)·중대리(中垈里)·창내(倉內)
⊙ 수북면(水北面, 9동) :
백봉(柏峯)·도염동(島念洞)·동언(東堰)·평촌(坪村)·벽동(璧洞)·어연리(魚淵
里)·황곡(黃谷)·한산리(閑山里)·가천(佳川)
⊙ 율북면(栗北面, 7동) :
황구지(黃口池)·동청리(東靑里)·항곡(項谷)·중리(中里)·불정리(佛井里)·진
목리(眞木里)·상가천(上佳川)
⊙ 종덕면(宗德面, 8동) :
막금리(幕今里)·당현(堂峴)·두능리(杜陵里)·황조곡(黃鳥谷)·문곡(文谷)·계
루지(桂樓池)·신기(新基)·가산리(佳山里)